무등산 풍혈
風穴
MG08
무등산 풍혈
냉각-해빙, 풍화지형
-
행정구역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1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 산77-1
- 전남 담양군 남면 정곡리 산143-2
-
분류
-
가치등급
-
활용분야
풍혈(wind hole)은 여름에 서늘한 바람이 나오고 겨울에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바위틈이나 구멍을 말한다. 여름에 너덜지대로 유입된 공기가 지하의 바위틈을 통과하여 나오는 순간 따뜻한 공기를 만나 단열팽창으로 급속히 냉각되어 냉혈이 만들어지고, 겨울에는 땅속 바위에 유입된 공기가 따뜻해지고 가벼워져서 밖으로 나오면 주변보다 온도가 높아 온혈이 된다. 무등산 풍혈은 바깥 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가 최대 27℃ 차이를 보인다(평균 20℃ 차이). 누에봉에서 꼬막재사이 해발고도 900m~1000m 사이 지점에서 20개 이상이 발견되었다.
-
- 비법정 등산로 (입산통제)
- 해발 1,000m 지점의 너덜에서 만들어진 온혈과 냉혈의 풍혈지구대
- 무등산 정상 부위 면적 180,000㎡에 30여 개의 세계적 규모의 풍혈 군집지역
- 풍혈에 자생하는 각종 식생과 동물의 학술적 연구
-
- 북봉(누에봉)지역 풍혈군은 북쪽방향으로 해발 900m~1,000m 사이에 고도 100m 폭 98m로 32개 이상이 발견되었습니다.
- 풍혈의 온도는 바깥 기온이 영하일 때 동굴 내부는 영상 7~18℃를 유지하고, 동굴 내에는 한겨울이지만 습도가 높고 푸른 이끼가 자생합니다.
- 기온이 영하로 더 내려갈수록 따뜻한 김이 방출됩니다.
- 현재 지질공원팀과 무등산국립공원 동부사무소에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중생대 백악기 용결응회암인 무등산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너덜의 일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