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구역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산227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산228
-
분류
-
가치등급
-
활용분야
새인봉은 측면이 수직 절벽으로 이루어진 돔 형태를 보이는 해발 고도 488m의 봉우리로서 도곡유문암이라 불리는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 규모의 수직절리와 함께 용암이 흐른 유상구조를 따라 수많은 쪼개짐면이 발달되어 있는데,측면의 절벽은 수직절리를 따라 암반의 붕괴가 계속되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상에는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직경 20cm, 깊이 10cm 정도의 팬홀이 형성되어 있다. 새인봉의 명칭은 돔 상의 봉우리가 임금의 옥새 같다 하여 새인봉 또는 인괘봉(印掛峯)이라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무등산의 대표적인 암석돔지형
- 유상구조가 잘 발달된 도곡유문암
- 수직절리와 수평절리가 잘 발달된 지형변화 관찰가능
-
- 새인봉은 암석돔으로, 연속적인 수직 절벽입니다.
- 이 지대는 도곡유문암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 측면에는 수직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고, 정상부로는 수평절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 이 지역의 단애는 주로 유문암질에서 발달하며, 수직절리의 발달과 부분적인 암반의 붕괴가 계속되어 생성되었습니다.
- 정상의 높이는 608m이며, 정상의 바위덩이가 임금의 옥새같다 하여 새인봉(璽印峯) 또는 인괘봉(印掛峯)으로 불리었다고 전해집니다.
지질명소 더 알아보기
바위에 새겨진 용암의 길
끈적끈적한 상태의 용암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암석에 약한 틈을 만들고 절개면을 형성한다. 도곡유문암의수평 절개면은 용암이 바위 위를 흘러갔음을 추정하게 하는 흔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