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화강암
光州花崗巖
MG13
광주화강암
지질지형
-
행정구역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2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4-2
-
분류
-
가치등급
-
활용분야
이곳은 중생대 쥐라기에 지하에서 마그마가 굳어져 형성된 화강암이 오랜 시간침식을 받아 노출된 노두이다. 이 지역의 화강암은 중생대 쥐라기의 화강암과 석영섬록암, 백악기의 석영반암과 미문상화강암이 있다. 쥐라기의 화강암은 흑운모화강암과 화강섬록암으로 구성되며 이 둘을 묶어 광주화강암이라고 부른다.
이곳에서는 지각변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단층과 단층활면이 관찰된다.
-
- 중생대 쥐라기 대보조산운동으로 형성된 광주 기반암 화강암 노두
- 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 반상화강암, 흑운모화강암, 복운모화강암 등의 화강암체
- 단층 및 단층활면 등 지질구조의 교육장
-
- 암회색을 띠는 균질한 중립 내지 조립의 화강암질암으로 풍화를 많이 받아 대체로 낮고 완만한 지형을 보입니다(김정빈, 1990)
- 광주화강암은 화강암질편마암과 변성퇴적암류를 관입하고 무등산 안산암과 능주층군에 속하는 퇴적암류에 의해서 부정합으로 덮히고 불국사 화강암에 의해 관입됩니다.
- 광주화강암은 주조성광물과 조직의 차이에 의해 4가지 암상으로 구분됩니다.(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 반상화강암, 흑운모화강암, 복운모화강암)
- 지질학적으로 일어났던 역사를 보여주는 단층과 단층활면이 관찰되며, 도심지에서 접근이 용이한 노두입니다.
지질명소 더 알아보기
광주는 화강암의 땅
광주 도심을 비롯한 대부분 지역은 화강암 분포지역이다. 화산 활동이 일어나 무등산지가 솟아 올랐고 시간의 숨결 속에서 오늘의 풍광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