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추월산 구상암
-
MG21
담양 추월산 구상암
예비지질명소
추월산은 해발 731m의 높이로서 기암절벽과 수목
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임진
왜란 격전지이자, 동학농민군의 항거지로도 알려져
있다. 추월산의 암석은 중생대 백악기 화산활동에
의해서 형성된 ‘내장사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내장사화산암류는 유문암, 유문반암, 유문암질 각
력암, 용결응회암 등 다양한 종류의 화산암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특히 추월산 중턱의 화산암은 구상
형으로 산출되는 용결응회암으로서 베개용암과 유
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 해발 731m 높이로서 기암절벽과 수목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담양 대표 명산
- 중생대 백악기 화산활동에 의해서 형성된 내장사화산암류로 구성
- 추월산 중턱에서 보이는 구상형의 용결응회암이 특징
- 임진왜란 격전지이자, 동학농민군의 항거지로도 알려져 있음
-
- 내장사화산암류는 유문암, 유문반암, 유문암질 각력암, 용결응회암 등 다양한 종류의 화산암으로 구성
- 추월산 중턱에서 구상형(球狀形)의 화산쇄설암(용결응회암)이 나타나는데, 이는 화강암 계열 또는 변성암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는 국내외 다른 사례와는 달라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음
- 화산력응회암 노두의 상부에는 구상형의 암괴 수 십 여개가 산포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구상암의 크기는 약 0.5~2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산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