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등록된 배너가 없습니다.

TOTOP

지질학 기초배우기

암석학(Petrology)이란?

  • 지질학(Geology)의 한 분야로서, 암석의 기원과 그 암석을 만들게 된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 암석을 관찰 · 기재 · 분류하고, 암석의 기원과 진화사를 해석·규명하는 학문입니다.

암석의 분류

  • 화성암(Igneous rock)
    • 지구 내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규산염 용융체 마그마가 굳어서 된 암석을 말합니다.
    • 마그마의 종류와 굳어질 당시의 깊이나 압력 등 외부환경에 따라서 암석의 광물입자 크기와 광물성분에서 다양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성 당시의 깊이나 SiO2의 함량을 분류 기준으로 합니다.
  • 퇴적암(Sedimentary rock)
    • 물과 바람 등의 운반작용에 의해 운반된 광물이 지표의 낮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퇴적작용을 거쳐 만들어진 암석을 말합니다.
    • 운반작용을 거쳐 만들어진 쇄설성퇴적암과 화학적, 생물학적 침전으로 만들어진 비쇄설 성퇴적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변성암(Metamorphic rock)
    •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해 변성작용을 받아 변화된 암석을 말합니다.
    • 암석을 이루고 있는 광물의 배열을 바꿔 층상이나 호상의 엽리를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이러한 엽리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크게 엽리가 있는 암석과 엽리가 보이지 않는 암석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무등산권지질공원엔 어떤 암석이

테이블을 양옆으로 스크롤해주세요

무등산권국가지질공원 암석 현황
구분 암석명 분류 내용
1 광주화강암(gwangju granite)

광주화강암

(gwangju granite)
화성암
  • 트라이아스기~쥐라기의 각섬석-흑운모 화강섬록암, 쥐라기의 석영섬록암, 백악기의 석영반암, 미문상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트라이아스기의 화강암류는 흑운모화강암과 화강섬록암이 있는데, 이 두 암체를 묶어 광 주화강암이라 부릅니다.
  • 조선대학교 내(본관 뒤편, 경영대 뒤편, 학군단 뒤편 등산로)에서 관찰 가능합니다.
2 세립질화강암(fine grained granite)

세립질화강암

(fine grained granite)
화성암
  • 광물의 결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화강암입니다.
  • 서석대에서 관찰가능하며, 무등산응회암의 주상절리대를 따라 마그마가 관입하여 형성 된 것입니다.
3 미문상화강암(Micrographic granite)

미문상화강암

(Micrographic granite)
화성암
  • 암석의 문상구조를 현미경으로만 관찰 가능한 백악기에 형성된 화강암입니다.
  • 주구성광물은 석영, 알칼리장석, 사장석과 흑운모 등입니다. 석영과 정장석은 대부분 미문상조직으로 산출됩니다.
  • 의상봉 일대와 윤필봉 자연동굴에서 쉽게 관찰 가능합니다.
4 석회암(Limestone)

석회암

(Limestone)
퇴적암
  •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퇴적암입니다.
  • 당시 얕은 바다환경이었던 이 지역은 탄산염 성분을 만들어내는 생물들이 죽어 쌓이면서 대규모 석회암지대를 만들어냈습니다.
  • 백아산 석회동굴에서 관찰 가능합니다.
5 무등산응회암(Mudeungsan tuff)

무등산응회암

(Mudeungsan tuff)
화성암/퇴적암
  • 무등산권역의 주상절리대를 이루고 있는 암석으로, 화산폭발시 분출된 화산재가 주변의 뜨거운 환경으로 인해 녹아 형성된 용결 응회암입니다.
  • 현미경하에서 전체적으로 석기(matrix)가 많은 반정 조직을 보이며, 반정은 대부분 사장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야외노두상에서 피아메(fiamme)를 통해 응회암의 용결구조가 쉽게 인지됩니다.
6 응회암(Tuff)

응회암

(Tuff)
화성암/퇴적암
  • 화산재가 쌓여서 암석화 작용을 받은 퇴적암이며, 보편적으로 화산에서 분출된 후 운반작용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바로 퇴적되었으므로 퇴적물의 원마도와 분급도가 불량 한 것이 특징입니다.
  • 화순 운주사 층상응회암, 화순 고인돌 장동응회암 지질명소에서 관찰 가능합니다.
7 도곡유문암(Dogok rhyolite)

도곡유문암

(Dogok rhyolite)
화성암
  • 화강암에 상당하는 화학조성을 가지며, 유색광물의 함량이 10% 이하인 상대적으로 밝은 화성암입니다.
  • 용암류의 유동흔적을 보이는 유상조직(flowtexture), 구과형, 단괴형 등의 구조가 잘 나타납니다.
  • 무등산 새인봉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8 안산암질용암(Andesitic lava)

안산암질용암

(Andesitic lava)
화성암
  • 중생대 백악기 당시 여러 차례 분출한 용암층 중 하나이며, 안산암질응회암, 안산암질 용암, 관입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암록색 내지 암회색이나 풍화면에서는 갈색 내지 적갈색을 나타냅니다.
  • 무등산 증심사계곡에서 관찰가능하며, 화순군 화순읍의 북서부와 동복호 주변에서도 관찰 가능합니다.
9 화강편마암(Granite gneiss)

화강편마암

(Granite gneiss)
변성암
  • 무등산을 이루는 기반암으로서, 가장 연대가 오래된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되었습니다.
  • 담회색을 띠는 저반형 조립 내지 중립질 화강암질암으로 부분적으로 연장성이 불량한 엽리를 보입니다.
  • 화순군 만연사 일대를 포함하여, 광주함몰체 외곽을 둘러싸며 분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