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적 가치 01
전지질시대를 아우르는 산지질교육장!
무등산권역은 선캄브리아시대부터 신생대까지 지질시대 전체에 걸쳐 만들어진 암석들과 지질구조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등산 주변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지질유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만들어져 신생대를 거치며 현재의 모습으로 남아있게 되었습니다.
테이블을 양옆으로 스크롤해주세요
대 (era) |
기 (period) |
지질명소 (Geosite) |
---|---|---|
신 생 대 Cenozoic |
제4기 Quaternary |
덕산너덜, 지공너덜, 백마능선, 장불재, 무등산 풍혈, 시무지기 폭포, 충효동 점토광물산지 |
중 생 대 Mesozoic |
백악기 Cretaceous |
무등산 정상3봉, 서석대, 입석대, 광석대, 신선대, 의상봉, 새인봉, 증심사계곡 안산암질용암, 적벽, 서유리 공룡화석지, 운주사 층상응회암, 화순고인돌 용결응회암 |
쥐라기 Jurassic |
무등산 광주화강암 |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추천하는 20개 지질명소에 방문하셔서, 아름다운 경관과 더불어 지질시대 공부까지 함께 하는 건 어떨까요?
지질명소 보러가기지질학적 가치 02
한반도 서남부일대 중생대 화산활동사의 표식지!
중생대의 한반도에는 화산활동이 산발적으로 격렬하게 빈번했으며, 한반도 서남부 일대의 많은 화산활동 결과 중 하나가 바로 무등산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무등산에는 최소 3번 이상의 화산 분출이 있었습니다.
출처 : Chungwan Lim, Min Huh, Keewook Yi, Changyeol Lee, 2015, Genesis of the columnar joints from welded tuff in Mount Mudeung National Geopark, Republic of Korea, Earth, Planets and Space, 67:152
3차 분출약 8,5000만년전
2차 분출약 8,700~8,500만년전
1차 분출약 8,700만년전
무등산의 정확한 형성사를 밝히는 연구는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진행된 무등산의 최신 연구 소식이 궁금하세요?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전문가에게 물어보세요!
질문하기 (wy0923@korea.kr)지질학적 가치 03
세계최대 크기의 주상절리대
세계에서 가장 두꺼운 주상절리대를 자랑하는 무등산 광석대(규봉 주상절리대)는 돌기둥 하나의 너비가 최대 7m까지 보고되고 있습니다.
지질명소 자세히보기지질명소 | 기둥 평균너비(m) | 기둥 최대너비(m) |
---|---|---|
정상3봉(지왕봉) | 177 | 280 |
서석대 | 129 | 170 |
입석대 | 134 | 220 |
광석대 (규봉 주상절리대) |
285 | 700 |
신선대 | 121 | 250 |
출처 : Chungwan Lim, Min Huh, Keewook Yi, Changyeol Lee, 2015, Genesis of the columnar joints from welded tuff in Mount Mudeung National Geopark, Republic of Korea, Earth, Planets and Space, 67:152
지질학적 가치 04
국내에서 가장 높은 밀도의 암괴류(너덜) 분포
무등산에는 주상절리들이 오랜 풍화를 거치며 형성된 암괴류(너덜)가 곳곳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지질학적 가치 05
한반도에 서식했던 중생대 공룡의 다양성과 공룡의 가속도 규명
MG16 서유리 공룡화석지
출처 : 화순 공룡화석지 종합학술연구, 2001, 전남대학교 공룡연구소, 전라남도, 화순군
출처 : Bo Seong Kim, Min Huh, 2010, Analysis of the acceleration phase of a theropod dinosaur based on a Cretaceous trackway from Kor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e, Palaeoecology, 293, 1-8
지질학적 가치 06
자연과 문화, 역사가 어우러진 세계적 지질명소
무등산권역에는 자연에서 비롯된 문화, 역사들이 어우러져 분포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