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Geopark
국가지질공원이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을 말한다.
※ 법적근거: 자연공원법 제2조(정의), 제36조의3(지질공원의 인증 등)
지질공원의 핵심은 단순히 지질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사람 중심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국가지질공원은 지질유산을 보전하고, 교육과 관광에도 활용하여 지역의 경제적 이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국가지질공원 현황
한국 국가지질공원은 총13개소이다 (2020년 7월 현재)
테이블을 양옆으로 스크롤해주세요
번호 | 추진주체 | 명칭(면적) | 지질명소 | 추진현황 | 홈페이지 |
---|---|---|---|---|---|
1 | 울릉군 | 울릉도 · 독도 국가지질공원 (127.9㎢) |
23개 (삼선암, 코끼리바위, 봉래폭포 등) |
|
홈페이지 |
2 | 제주도 |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1,864.4㎢) |
12개 (한라산, 수월봉 응회환, 중문대포 주상절리대 등) |
|
홈페이지 |
3 | 부산 | 부산 국가지질공원 (296.98㎢) |
12개 (금정산, 태종대, 오륙도 등) |
|
홈페이지 |
4 | 경북 | 청송 국가지질공원 (845.71㎢) |
24개 (기암단애, 신성 공룡발자국, 백석탄 등) |
|
홈페이지 |
5 | 강원도 |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 (화천, 인제, 양구, 고성) (1,829.1㎢) |
16개 (구운구곡, 양구백토, 화진포 등) |
|
홈페이지 |
6 | 광주 전남 |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광주, 화순, 담양) (246.31㎢) |
23개 (서석대, 광석대, 적벽 등) |
|
홈페이지 |
7 | 경기도 강원도 |
한탄강 국가지질공원 (포천, 연천, 철원) (1,164.74㎢) |
24개 (비둘기낭폭포, 재인폭포, 철원 용암대지 등) |
|
홈페이지 |
8 | 강원도 | 강원고생대 국가지질공원 (태백, 영월, 정선, 평창) (1,990.01㎢) |
21개 (검룡소, 화암동굴, 한반도지형 등) |
|
홈페이지 |
9 | 경북 |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경주, 포항, 영덕, 울진) (2,261㎢) |
19개 (양남 주상절리군, 호미곶 해안단구, 왕피천 등) |
|
홈페이지 |
10 | 전북 | 전북 서해안권 국가지질공원 (고창, 부안) (520.3㎢) |
12개 (채석강, 적벽강, 고창갯벌 등) |
|
홈페이지 |
11 | 인천 |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66.86㎢) |
10개 (두무진, 사곶해변, 콩돌해안 등) |
|
홈페이지 |
12 | 전북 |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 (1,154.62㎢) |
10개 (마이산, 구봉산, 운일암반일암 등) |
|
홈페이지 |
13 | 충북 | 단양 지질공원 | 여천리 돌리네, 고수동굴, 도담삼봉 등 |
|
홈페이지 |
14 | 전북 | 고군산군도 지질공원 | 산북동 공룡발자국 화석지, 말도 습곡구조 등 |
|
홈페이지 |
15 | 경기 | 화성 지질공원 | 고정리 공룡알 산지, 우음도 등 |
|
홈페이지 |
16 | 경북 | 의성 지질공원 | 만천리 새끼공룡발자국, 해망산 거대건열구조 등 |
|
홈페이지 |
17 | 경북 | 문경 지질공원 | 문경새재, 굴봉산 돌리네습지 등 |
|
홈페이지 |